본문 바로가기
매매 기법

주식 코인 수익 세금,양도 소득세 정리

by 닥터 모리아티 2023. 6. 15.
반응형

주식 코인 양도 소득세

주식 세금의 종류

투자를 통해 자산을 불리기 위해서 주식 투자를 하다보면 손실이 날 때도 있고 수익이 날 때도 있는데요.

손실이 날 때는 어쩔 수 없지만 수익이 발생할 경우 나라에 세금을 내야 합니다. 납세의 의무를 지키지 않으면 

법적인 불이익을 받을 수 있는데요. 주식 수익 관련 세금 종류에 대해서 소개해 드리겠습니다.

 

증권 거래세 : 증권 거래세는 주식 매매시 발생하는 세금으로써 보유한 주식을 매도 할 시 매매 금액의 0.35%를 냅니다.

매수시에는 증권 거래세가 부여되지 않으며 단타 및 스켈핑을 주로 투자 전략으로 하시는 분들은 거래 수수료와 세금으로 

수익금 부분에서 지출이 많이 되어 부담스러워하는 세금입니다.

국내 증권 시장인 코스피,코스닥,K-OTC는 개정된 세법으로 인하여 0.2%로 인하된 세율을 적용 받습니다.

 

양도 소득세(금융 투자 소득세):주식 매매 과정에서 발생하는 수익금에 대해서 발생하는 세금입니다.

국내 주식의 경우 대주주(한 종목 10억원이상 보유자)가 아니면 양도 소득세가 없고

해외 주식의 경우 양도 차익이 연간 250만원 이상의 경우 수익의 22%(양도 소득세 20%,지방 소득세 2%)를

세금으로 내야합니다.

 

국내 주식 대주주 양도 소득세

대주주 요건이 충족되는 경우 국내 주식의 경우 과세 표준 3억이하 22%(양도 소득세 20%+지방 소득세 2%),

3억원 초과 27.5%(양도 소득세 25%+지방 소득세 2.5%)를 양도 소득세로 내야합니다.

 

2025년 이후 금융 투자 소득세는 대주주 외에도 수익금의 5천만원 이하까지는 비과세,

그 이상은 대주주 과세 표준대로 세금을 내야 될 예정이라고 합니다.

 

배당 소득세(금융 소득 종합 과세):주식 배당등을 통해 발생한 배당 이익금에 대한 세금을 내야합니다.

배당 이익이 연 2천만원 이하의 경우 15.4%의 배당 소득세(금융 소득 종합 과세) 원천 징수를 하고 

연 2천만원 이상의 경우 누진세율을 적용하여 세금을 부과합니다.

금융 소득세 누진세율표

 

코인 세금의 종류

코인등 가상 자산은 특금법을 통해서 경제적 가치를 인정 받아 수익 부분에 대한 연 250만원을 초과하는

수익금에 대해서 기본 세율은 20%를 적용하여 세금을 낼 예정이었지만 

2025년까지 코인 및 가상 자산에 대한 세금 적용을 유예시키기로 국회에서 소득세법이 개정되었습니다.

2025년 1월 1일이후 세금 적용이 되는데 계속해서 국회에서 가상 자산 과세 관련 소득세법 개정 가능 가능성이 있어서

지속적으로 확정 사안들을 확인하면 도움이 될 것 같습니다.

 

바이비트 추천인 가입 링크

 

https://partner.bybit.com/b/113274

반응형

댓글